- 평생 쓸 눈의 시력은 “성장기 검진”에서 잡아주세요.
- 초등학교 입학 전 어린이의 시력검진이 중요한가요?
- 어린이의 시력장애는 조기에 찾아내서 치료가 늦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시력 발달이 완성되는 취학 전에 안질환을 발견해 빨리 치료할수록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력 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. 출생 직후에는 큰 물체의 유무 정도만 구별하다 3-4개월이 되면 눈을 맞추고 따라보는 정도가 됩니다. 생후 6개월이 되면 완벽하게 두 눈의 초점을 맞출 수 있어 입체시가 형성되고, 1세에는 0.2정도의 시력을 획득해 멀리, 가까이에 있는 물체를 모두 잘 보게 됩니다. 3세가 되면 0.5 이상, 6세 정도면 모든 눈의 기능이 대부분 완성되는 시기입니다.
-
신생아
가까운, 움직이는, 밝고 큰 물체에 관심
-
생후3개월
엄마와 눈맞춤
-
생후6개월
두 눈의 초점을 맞출 수 있어서 입체시가 형성됨
-
생후1세
멀리있는 물체와 가까이 있는 물체를 모두 다 잘 봄
-
6세
시력표 성인과 비슷한 1.0의 시력이 나옴
- 초등학교 입학 전 어린이의 시력검진 적어도 1년마다는 꼭!
- 어린이들은 눈에 이상이 생기거나 시력이 떨어지더라도 잘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건강한 시력 발달을 위해서는 적어도 만 3세부터 1년에 한 번씩 안과검진을 받아 혹시 있을지 모르는 근시, 난시, 원시, 사시, 약시 등에 대해 적절한 교정을 해주어야 합니다.
어린이의 주요 눈 질환 | 어린이의 눈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|
---|---|
– 굴절이상 (근시, 난시, 원시) – 사시 – 약시 – 선천적 질환 (백내장, 녹내장 등) – 눈꺼풀 질환 (첩모난생, 부안검, 안검하수 등) – 망막 질환 (미숙아망막병증, 안 종양, 망막병증) |
– 생후 3개월 이후가 되어도 눈을 잘 맞추지 못합니다. – 두 눈의 시선 방향이 다릅니다. – 눈을 심하게 부셔하거나 찡그립니다. – 눈을 자주 깜박이거나 자주 비빕니다. – 물건을 볼 때 눈을 많이 찌푸리거나 가까이 다가가서 봅니다. – 고개를 기울이거나 얼굴을 옆으로 돌려서 봅니다. – 양쪽 혹은 한쪽 눈꺼풀이 처져 있습니다. – 미숙아였거나 유전질환, 눈 질환의 가족력이 있습니다. |
- 성장기 눈 정밀검진!
- 청라센트럴안과는 대학병원급 검사장비들을 이용해 굴절검사, 사시검사, 양안시 및 입체시 검사, 원시검사 등 시력검사 외에 눈썹, 각막, 결막, 눈의 구조 문제를 진단하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, 경우에 따라 선천성 백내장과 선천성 녹내장 검사 등 성장기의 눈 정밀검사를 진행해 드립니다.
01 | 세극등 검사 | 안과현미경 검사로 눈의 전반적인 모양, 속눈썹 찔림, 선천 백내장 여부 등 기본적인 안과 질환이 있는지 알아보는 검사입니다. |
---|---|---|
02 | 굴절 검사와 각막 곡률 검사 | 평상시 안경도수를 검사하고 근시, 난시, 원시 여부를 판단합니다 |
03 | 조절 마비 굴절 검사 | 만 10세 미만에서 정확한 근시, 난시, 원시 도수를 파악하기 위해 하는 검사입니다. |
04 | 사시 및 사위 검사 | 시력이 좋아도 사시 및 사위가 있는 경우가 3-15%이기 때문에 검사가 필요합니다. |
05 | 주시안 검사 | 검사를 통해 주로 사용하는 눈을 파악합니다. |
06 | 안근 기능 검사 | 눈동자를 움직이는 눈의 6개 근육의 기능을 보는 검사입니다. |
07 | 입체시 검사 | 양 눈의 시력을 동시에 사용해 입체적으로 보는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하는 검사입니다. : Lang test |
08 | 색각 검사 | 색맹, 색약 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검사입니다.: Hue test, 이시하라 검사 |
09 | 안저 검사 | 시신경, 망막에 질환이 있는지 알아보는 검사입니다. |
10 | 안압 검사 | 눈 속의 안압 정도를 측정해 녹내장이 있는지 알아봅니다. |
- 시력교정수술 위주의 다른 안과들과 달리 아이들의 고른 시력발달을 지원하며 필요한 정밀검진을 운영하고 있는 청라센트럴안과에서는 검사 결과에 따라 적합한 교정 치료와 생활 습관 및 환경 개선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합니다. 아이의 시력 발달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적절한 교정 치료와 관리를 해드립니다.